티스토리 뷰

반응형

*아이 참관활동을 다녀왔더니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와서 배움중심수업이 무엇인지 한 번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수업을 볼 때 엄마는 아이만을 바로보고 있는데...... 수업을 하는 교사들과 그에 따른 참관을 하는 교사들은 바라보는 관점이 학부모와는 다른가 봅니다.

  배움의 공동체는 일본 학습원대학교 사토마나부(전 동경대학교 교수)가 주창한 수업을 중심으로 하는 학교혁신의 실천개념이자 '21세기 학교의 비전'이다


1. 배움의 공동체로서의 학교

  가. 아이들이 서로 배우는 학교, 교사들이 전문가로서 서로 배우는 학교, 보호자나 시민이 참가하고 협력하며 서로 배우는 학교

  나. 교실을 배움의 공동체로 협동적인 배움의 실현

  다. 교무실을 배움의 공동체로 전문적 학습공동체

  라. 활동시스템

    - 교실 : 협동적인 배움의 실현

    - 교무실 : 동료성 구축=교내연수의 정례화(자기 성찰에 대한 반성)

    - 학부모, 지역사회 : 네트워크

 

2. 세 가지 철학

  가. 공공성의 철학

    - 학교(교사)는 공공적인 사명과 책임을 맡는 조직

    - 한 명의 아이도 배움에서 소외되지 않게 배움을 보장하고 그 배움의 질을 최대한 높이며 민주주의 사회를 실현하는 것

    - 교육의 질과 평등에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

  나. 민주주의 철학

    - 민주주의는 '타자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개인의 존엄과 다양성 존중

    - 모두가 주인공이 되는 교육

  다. 탁월성 추구

    - 어떤 조건에서도 최선을 다하는 교육

    - 최고를 향한 도전=질의 추구=점프로서의 배움

 배움의 이론  -아이들은 어떻게 배우는가?-


1. 학습자 활동 : 특정 교육내용이나 대상과 대화

  가. 교재, 학습과제, 배울 대상

  나. 배움은 대상을 통한 인지적 실천을 시작으로 수행됨

  다. 학습자의 활동적 배움

    1) 모든 교과와 수업에 문제해결적 배움 조직

      가) 주제(질문), 탐구, 표현의 사이클로 조직하기

      나) 수업에 사물(활동)을 포함시켜 현실사회와 연결하기

      다) 들려주고 기억시키는 수업에서 생각하게 하는 수업으로

      라) 교사의 설명을 학습자의 활동으로

  라. 3가지 활동의 준비

    1) hop(질문을 갖는 활동), step(교과서 기초), jump(오늘 배운 문제를 활용하기)

    2)

      가) 사물을 이용한 추론, 탐구, 구체물의 조작 등 문제해결적 사고를 동반하는 활동

      나) 관찰, 반복해서 읽기, 생각 정리하기 등 배운 것을 사용하는 지적인 작업 활동

      다) 체험, 주변 사물과의 접촉,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을 가진 활동

  마. 수준은 높게 소재는 아이들 삶과 연계 : 교육과정성취기준교재(교과서 활용)

  바. 나의 활동지는 어떤 형태인가?

    1) 문제지와 활동지의 차이 : 사고와 탐구

    2) 빈 칸 또는 괄호 채우기의 한계

    3) 활동에 대한 오해 : PPT, 영상, 교과서 CD

 

2. 협동 : 타자(친구, 교사)와 대화

  가. 타자와의 의사소통을 매개로 하는 대인적 실천

  나. 교실은 차이로부터 협동하며 서로 배우는 장소

  다. 배움의 문화는 '의존성''호혜적 배움'으로 성립

  라. 아이들끼리 묻고 배우는 관계를 만들어라.

  마. 자형 마주보기 책상 배치 모둠

    1) 서로 마주보게 하는 배치

    2) 소집단 활동 = 소집단 협동학습(4인 집단 구성)

    3) 무작위 제비뽑기(랜덤, 민주주의)

    4) 남녀 혼성집단, 학기당 2, 3번 바꾸기

    5) 각자 자기과제 해결(자기배움 자기가 하기)

    6) 답을 하나로 정리하지 않기, 묻기 전에 먼저 말하지 않기, 친구가 물어보면 그 때 말하기

 

3. 표현, 성찰 : 자기 자신과의 대화

  가. 교실은 아이덴티티에 대한 확인, 표현하는 장소

  나. 경쟁을 동기로 하는 배움은 아이덴티티의 위기 초래

  다. 듣는 관계

    1) 교사 : 말수를 줄이고 목소리 낯춘 정중한 언어

    2) 학생 : 묻고 배우는 관계 만들기

  라. 표현적인 배움

    1) 정답의 발표가 아니라 공유를 위한 '표현'

    2) 모둠에서 듣고 정리한 자신의 생각 표현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