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1년 직장인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기록입니다. 재미로 봐주세요. 남편도 저도 최고 연봉을 찍었어요.

- 직장인 남편 2021년 1년 소득: 68,249,130원
- 직장인 아내 2021년 1년 소득: 76,301,250원

2021년이 가장 소득이 많이 나온 해가 아닐까 싶네요.
특히 저의 경우 월급 말고 수당이 많았어요. 수당을 받을 일이 많았어요. 그래서 소득이 엄청나게 많이 나왔어요.

아마 앞으로 5년에도 이런 소득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 봐요. 남편도 저도 열심히 다닌 것을 칭찬해요.

- 남편결정세액: 4,224,929원
- 남편기납부세액: 4,578,300원
- 남편 환급금액: 353,360원

- 아내결정세액: 5,629,269원
- 아내기납부세액: 5,052,020원
- 아내 토해낼 금액: 577,249원

인적공제가 가장 큰데 인적공제를 할 사람이 없어서 결정세액이 많답니다.

남편과 제가 내는 세금이 대략 980만 원이 되네요. 에고고. 결정세액이 좀 되네요.

남편은 환급을 받는데 저는 토해내야 하네요. 그래서 남편과 저는 합치면 22만 4천 원 정도 토해내어야 하네요.

2월 월급은 작겠네요. 57만원이 빠져서 나올 것이니깐요.

- 남편 기부금: 250,000원
- 아내 기부금: 720,899원
굿윌스토어 218,700원, 대한적십자사 220,000원, 굿네이버스 11,000원, 아름다운 가게 91,199원... 등

올해 나름 기부를 굿윌스토어로 많이 하려고 했는데 약간의 게으름으로 100만 원이 되지 않네요. 집에 사용하지 않은 기부할 물건은 많은데 상자로 포장을 하지 않았네요. 열심히 기부하자. 미니멀 라이프도 실천하기.

2022년에는 분발하여서 기부금을 더 많이 내어서 착한 선함을 베풀어야겠어요.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신영마라톤 소득공제증권투자신탁 2014년 11월 18일 가입해서 120만 원을 넣어서 소득공제 금액이 48만 원이네요.

2014년 11월부터 장기 집합투자증권저축을 넣기 시작했고 만기가 2024년 11월 19일이네요. 이제 3년만 넣으면 만기이네요.

현재 수익률은 22%이고 매년 연말정산을 할 때마다 소득공제를 받고 있어요.

연금저축이 끝나서 연금저축펀드를 들었어요.
1,015,299원을 넣어두었어요. 아직 이 부분은 공부를 해야 할 듯해요.

현재는 미국 증시가 좋지 않기 때문에 마이너스가 났어요. 지금이 많이 넣어두어야 할 시기이기에 더 넣기로 했어요.

2022년에는 400만 원을 다 채우려고 해요.

현금영수증은 2020년에 6,179,465원을 사용했는데 2021년에는 6,918,545원으로 매번 비슷한 모습을 보이네요.

네이버 페이로 충전을 해서 인터넷 쇼핑에서 사용하다 보니 700만 원 정도를 썼네요.

제로 페이는 2020년에 129,100원, 2021년에는 124,182원으로 별다른 변화가 없네요.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는 것에 그쳤는데 2022년에는 제로 페이를 많이 이용하려고 해요.
제로 페이가 10% 정도 할인을 해 주다 보니 그 혜택이 크네요.

체크카드인 직불카드는 2020년에는 21,586,524원, 2021년에는 21,670,744원이네요. 어떻게 이렇게 비슷할 수 있는지. 2021년에는 해외여행은 가지 못했지만 그래도 2020년과 비슷하게 사용을 했네요.

2022년에는 2월 이사도 있고 차도 구입할 계획이 있어서 자산을 늘리지 못하고 유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어요.

위안을 삼는 것은 한 사람의 월급과 월세로 생활을 했고 남편의 월급은 최대한 건들지 않았다는 것이랍니다. 사실 아이들 교육비가 80만 원 정도 되어서 큰 영향이 있답니다.

연말정산 기납부세액도 엄청난데 토해내는 금액도 좀 있어서 성공한 편은 아니네요.

최고 연봉을 받았는데 돈은 어디로 다 간 거지?
연봉÷12를 해도 이렇게 받지 못했는데......
건강보험에 국민연금까지 나가고 가면 실제 월급으로 통장에 남는 것이 없어요.

그래도 최고연봉을 찍은 2021년이었기에 열심히 일한 저와 남편을 칭찬해봅니다.

<에피소드>
2022년 1월 21일부터 3일간 아팠답니다. 열이 나지 않았는데 두통이 생겨서 진통제를 1-2알을 먹어야 했어요. 아마 이사를 준비한다는 것, 직장의 넘치는 업무, 명절이 다가오는 것 때문인가 봐요. 2끼를 못 먹었더니 살도 1.5kg이나 빠졌어요. 어쩐지 일은 너무 많이 했는데 몸이 안 아픈 것이 이상했을 정도였거든요.


에고고. 아파 있다가 시어머니께 안부전화를 드렸어요.
시어머니께서 아프신 것을 알고 계시네요. 알고 보니 남편이 시어머니께 안부전화를 하면서 제가 아프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해요.


몸이 아프다며 시어머니께서 명절에 오지 말라고 하네요. 남편은 오라고 하시네요. 남편은 시아버지 제사를 지내기 위해서...... 남편은 어머니께서 결정을 해주시지 않고 남편을 보고 선택하라고 하네요.

몸이 아팠던 저는 이번 명절은 친정도 시댁도 가지 않고 몸을 사리면서 집에서 휴식을 하려고 해요. 원기보충을 해야겠어요.


제가 3일간 아플 때 아이들을 챙기며 밥을 하던 남편이 무뚝뚝해 보였는데. 1년에 몇 번 정도는 아픈 저였거든요. 그래서 걱정을 하지 않은 줄 알았어요.


그런데 남편이 시어머니께 제가 아픈 이야기를 하면서 명절을 편하게 보낼 수 있게 밑밥을 깔아놓았네요.
홀시어머니께서 남편을 보았을 때 얼마나 팔불출처럼 보일까요?
아픈 저를 위한 남편의 센스~ 최고이네요.

3일 아픈 뒤 정산 컨디션으로 회복을 했답니다.
몸을 추슬러서 열심히 맞벌이 부부로 직장맘, 워킹맘으로 일을 해야겠어요.

https://richwnaak.tistory.com/m/1278

2018. 맞벌이부부 연말정산 소득공제 결과

매년 하게 되는 연말정산. 과연 올해는 얼마나 돌려 받을까? 얼마나 토해낼까? 이번에도 맞벌이부부의 소득을 궁금해하며 1년에 얼마를 벌고, 카드값으로 얼마를 쓸지 한 번 점검해 보겠습니다.

richwnaak.tistory.com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2020. 카카오뱅크 26주적금 기록이에요.

*2019년 12월: 864,296,156원
*2020년 5월: 889,340,105원
*2020년 6월: 895,309,961원

5개월 동안 자산이 2천5백만원이 늘었어요. 한 달 500만원씩 자산이 늘었다는 셈이네요.

지금 분위기라면 8월달까지 해외여행을 가지 않는다면 9억 달성을 할 수 있네요. 8월달에 자산 9억을 달성했다는 포스팅을 적고 싶네요.

1. 1월 24일 26주 적금 만기

 

1월 24일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만기

 

 천만위크 26주 적금이 만기가 되네요. 3천 원씩 증액이 되는 것으로 처음에 가입을 했어요.

 

천만위크 26주 적금 만기 혜택

 

 이 상품은 천만위크 기간에 가입을 했어요. 26주적금 만기 이자만큼 캐시백을 지급한다고 해요.

만기까지 꼬박꼬박 넣은 것을 매우 칭찬해요.^^

 

천만위크 26주 적금 이자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으로 1,353,000원을 넣었어요. 이자는 세전으로 4,411원이네요. 이자는 얼마 되지 않지만 모으는 재미가 쏠쏠한 26주 적금이네요.

 

천만위크26주적금캐시백

 

1월 29일 천만위크 26주 적금 캐시백으로 3,295원이 카카오뱅크 통장으로 입금이 되었어요.

아마 천만위크 26주 적금에 성공하신 분들은 1월 29일날 적금 캐시백을 받으셨겠지요. 천만위크 26주 적금처럼 카카오뱅크에서 많은 이벤트를 해 주셨으면 좋겠어요.

 

2. 2월 8일 자유적금 만기

 

 

토요일 아침 6시 카톡과 문자 소리에 깨었네요. 늦게 일어나려고 했는데.......
적금 만기로 온 문자이네요. 적금 만기 문자는 기분을 좋게 하네요.

이자가 722원이네요.
이자는 얼마되지 않지만 알뜰살뜰 마련하게 넣자.

3. 5월 17일 26주적금 만기

 

 

5월 17일 3번째 26주 적금이 만기가 되었네요. 이자가 적더라도 적금이 만기될 때마다 기분이 좋아요.

 

 

적금 자동이체가 4개월 연속 실행이 되었다며 만기에 해지하는 경우 가입 전체 납입금액에 대해 우대금리 연 0.2%를 추가로 제공한다는 카톡이 왔어요.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3번째 만기가 되었어요. 금리는 1.50%이네요. 점점 떨어지는 금리가 보이네요.

그래도 26주 적금 때문에 강제로 저축을 하고 있기에 계속 습관성 저축을 하려고 해요.

 

 

이번 이자는 802원이네요. 너무 작지만 그래도 티끌 모아 태산이라고 봐요.
작은 티끌을 모아서 9억이 되고, 10억이 될 수 있다고 봐요.

 
4. 6월 17일 26주 적금 만기

 

 

26주 적금을 하면서 가장 좋은 것은 만기일이 돌아올 때이네요.
6월 17일 2020년 4번째 26주 적금이 만기가 되네요.

 

 

2020년 4번째 26주 적금이자는 2,430원이네요. 정말 이자가 작지만 그래도 강제저축은 필요하기에 26주 적금을 습관처럼 넣고 있네요.

5. 6월 23일 26주 적금 만기

 

 

2020년 5번째 26주 적금 만기 완성!
해약하지 않고 5번째까지 유지할 수 있었던 것에 만족하고 있어요.

이번 26주 적금의 이자는 816원이네요.
과자값도 되지 않지만 모으는 재미로 26주 적금을 들고 있네요. 카카오뱅크 적금으로 2020년 받은 이자는 11,360원이네요. 앞으로도 카카오뱅크에 넣어둔 적금이 있기에 티끌 모아서 태산을 만들 예정이네요.

 

- 2020년 카카오뱅크 통장이자: 11,360원

 

맞벌이 12년차.

나름대로 즐길 것은 즐기며 알뜰살뜰 모으고 있네요.

자산은 눈사람 같네요. 처음 눈을 뭉칠 때는 작아도 굴리면 굴릴수록 커지네요.

 

다음 번 카카오뱅크 통장이자 포스팅을 공개할 때에는 아마 9억이 되어 있을 것이라 봅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매년 하게 되는 연말정산.
  과연 올해는 얼마나 돌려 받을까? 얼마나 토해낼까?
  이번에도 맞벌이부부의 소득을 궁금해하며 1년에 얼마를 벌고, 카드값으로 얼마를 쓸지 한 번 점검해 보겠습니다.
[온달아찌's 연말정산]
 - 남편의 총급여: 54,318,880원
 - 남편의 결정세액: 2,287,994원
 - 남편의 기납부세액: 2,964,450원
 - 남편의 인적공제: 본인, 자녀 2명
 - 남편의 보험료: 1,641,830원
 - 남편의 카드 사용액: 12,067,510원
 - 남편쪽 의료비: 535,122원
 - 남편의 연금저축공제: 300만원 연금저축
 - 남편의 기부금: 297,667원
 - 남편의 연말정산 결과: -676,450원

  2017년 남편의 총급여가 떨어졌는데 다시 5천만원 이상으로 올랐습니다. 열심히 일해준 남편, 너무 고맙습니다.^^

  연말정산에서 가장 유리한 것이 인적공제를 할 사람이 많으면 좋다는 것입니다. 본인은 1,50만원, 부양가족 2명으로 300만원 공제, 공재대상자녀 2명으로 30만원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작년에도 고치자고 했는데 올해도 신용카드를 한 쪽으로 몰아주기에 실패를 했습니다.
  내년에는 꼭 남편이 제 카드를 다 쓸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의료비는 남편, 아들, 딸로 535,122원이네요. 의료비는 제발 작게 나왔으면 합니다. 모두 아프지 말자.

  남편 연말정산 결과 676,450원을 2월에 돌려받습니다.
  2014년에는 남편이 50만원, 2015년 60만원, 2016년 47만원, 2017년 128만원입니다. 작년에 비해서 올해는 적게 돌려받습니다. 
[평강줌마's 연말정산]
 - 아내의 총급여: 61,510,400원
 - 아내의 결정세액: 3,497,325원
 - 아내의 기납부세액: 3,504,660원
 - 아내의 인적공제: 본인, 시어머니
 - 아내의 카드 사용액: 21,320,024원
 - 시어머니 의료비: 1,586,680원
 - 남편의 연금저축공제: 300만원 연금저축
 - 아내의 장기소득공제펀드: 48만원
 - 아내의 기부금: 516,818원
 - 아내의 연말정산 결과: -7,330원

   2018년 처음으로 연봉이 6천만원이 넘었습니다. 이렇게 총급여를 받았다고 하는데 그 많은 돈은 어디로 간 것일까요? 그래도 연봉이 더 올라서 기분이 좋습니다. 더 열심히 다녀야겠습니다.

  시어머니를 제 밑으로 넣어서 인적공제를 150만원 받았습니다.  
  가장 반성하는 부분은 카드 사용입니다. 이번에 2천만원이 넘게 카드를 사용했습니다. 카드를 많이 쓴 이유를 따져보니 바로 해외여행이었습니다.
  2018년 해외여행을 2번 갔더니 카드값이 엄청나게 나갔습니다. 해외여행은 1년에 한 번씩만 가자.

  연금저축과 장기소득펀드로 공제를 받았습니다. 연금저축은 2010년부터 넣었으니 벌써 9년째가 되었습니다.
  기부금은 올해 좀 더 늘었습니다. 옥션 나눔박스를 통해 아름다운 가게에 기부한 것을 연말정산에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2019년에는 좀 더 부지런히 나눔박스 기부를 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2018년 평강줌마네 연말정산 결과입니다.
 - 맞벌이부부 연봉 합계: 115,829,280원
 - 맞벌이부부 4인가족 1년 카드사용금액: 33,387,534원
 - 맞벌이부부 연말정산 환급액: 683,780원

  맞벌이부부이기에 조금씩 더 쓰는 부분이 많을 수 있습니다. 
  저희의 철칙은 '한 사람 월급은 모두 저금하자'입니다.
  작년에 연말정산 관련 포스팅을 적으면서 2019년 3월에는 8억 도전기를 완성하자고 했습니다.

  그 말보다 더 빠르게 2019년 1월 마의고비 같았던 8억 도전을 성공했습니다.
  내후년 2021년 9월 다시 9억 도전에 성공했다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이상 1년의 카드사용액을 돌아볼 수 있었던 2018년 연말정산 포스팅입니다.

- 아름다운가게 옥션 나눔박스 착한기부
- 2017년 맞벌이부부 연말정산 소득공제 결과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어김없이 돌아온 연말정산.
  올해 연말정산에서는 얼마나 내어야 할까?
  유리지갑은 세금폭탄을 맞지 않을까 걱정이 되네요.
  지극히 개인적인 기록으로 저희 부부의 연말정산 소득공제 결과를 정리해서 기록해두려고 해요.
  이렇게 한 연말정산 기록들이 1년 월급을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봐요.

[온달아찌's 연말정산]
- 남편의 총급여 48,051,570원
- 남편의 결정세액: 1,273,245원
- 남편의 기납부세액: 2,558,320원
- 남편의 인적공제: 본인, 초등 자녀 1명, 6세 이하의 자녀 1명
- 남편의 체크카드 사용액: 6,525,470원
- 의료비: 396,830원
- 남편의 자녀교육비: 24,850원
- 남편의 연금저축 공제: 300만원 연금저축 저금
-남편의 기부금: 4만원
- 남편의 연말정산 결과: -1,285,070원

  남편의 총급여가 2017년에는 조금 작습니다. 2015년부터 5천만원이 넘었는데 올해는 많이 줄었습니다.
  그러나 남편이 마음을 잡고 꿋꿋하게 다녀주어서 고맙습니다. 너무 수고했어요.
  2018년에는 월급이 인상이 될 것 같습니다.

  연말정산에서 가장 큰 것이 인적공제입니다. 두 아이를 남편 쪽에 인적공제를 하였습니다. 7살이 된 아들은 6세 이하 공제를 받았습니다.

  아직도 고치지 못한 부분이 신용카드 공제입니다. 급여의 25% 공제이기 때문에 1500만원 정도 사용해야 하는데 저희는 지출을 줄이다 보니 한 명은 신용카드 공제를 못 받습니다. 2018년에는 몰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의료비는 공제를 받지 않아도 되니 제발 작게 나왔으면 합니다. 총급여의 3%를 채우지 않았으면 합니다.
 
  어린이집을 다니다 유치원으로 왔습니다. 유치원으로 오니 교육비가 들지 않습니다. 체험학습도 방과후과정도 무료입니다. 진작 유치원을 보낼 걸 그랬습니다.
  딸의 경우 어린이집에서 많은 양의 학습을 하는 것이 맞았습니다. 그러나 아들의 경우 인성을 더 생각하는 유치원이 더 잘 맞습니다.

  남편의 연말정산 결과 1,285,070원을 2월에 돌려받습니다.
  2014년에는 남편이 50만원, 2015년 60만원, 2016년 47만원입니다. 2017년 연말정산이 가장 많이 돌려받는 것입니다.

[평강줌마's 연말정산]
- 아내의 총급여 57,710,700원
- 아내의 결정세액: 3,091,360원
- 아내의 기납부액: 2,73,640원
- 아내의 인적공제: 본인, 시어머니
- 아내의 체크카드 사용액: 19,713,584원
- 의료비: 922,600원
- 아내의 연금저축 공제: 300만원 연금저축 저금
- 아네의 장기소득펀드 공제: 480,000원
- 아내의 기부금: 225,000원(33,750원)
- 아내의 연말정산 결과: 217,710원

  2016년 처음으로 연봉이 5천만원이 넘었습니다. 2017년에는 좀 더 연봉이 늘었습니다.
  직장맘이라 힘이 들지만 월급을 받는 날이 좋아서 열심히 일하고 있답니다.

  연말정산을 가장 잘 받을 수 있는 것은 인적공제를 늘리는 것이랍니다. 인적공제 한 명당 150만원이랍니다.
  저는 시어머니 인적공제를 받았습니다.

  2017년 체크카드를 많이 사용하지 않았다고 생각을 했는데.... 19,713,584원을 사용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아낄 수 있는 것은 아낄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올해도 연금저축과 장기소득펀드로 공제를 받았습니다. 연금저축은 2010년부터 넣었으니 10년 만기 연금저축이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연금저축을 넣은지 벌써 8년째입니다.

  기부금은 225,000원을 내었습니다. 2018년에는 아름다운가게 옥션나눔박스를 실천하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기부를 할 수 있을 것이라 봅니다.

2017년 평강줌마네 연말정산 결과입니다.
- 맞벌이부부 연봉 합계 105,675,840원
- 맞벌이부부 1년 카드사용 금액: 26,239,054원
- 맞벌이부부 연말정산 환급액 합계: 1,067,360원

  내년에도 열심히 일해서 자산을 늘릴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총 연봉의 50%는 저금을 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그렇게 한다면 2019년 3월에는 8억 달성을 성공할 수 있을 듯 합니다.

  2017년 체크카드 사용액은 26,239,054원입니다. 2015년 17,113,723원, 2016년 26,649,920원입니다. 2017년은 2016년보다 40만원 정도 작게 사용을 했습니다.

  2017년 연말정산 환급액은 1,067,360원입니다. 여태까지 받은 연말정산 환급액 중 최고입니다. 작년과 별다를 것이 없는데 기납부세액이 많았나 봅니다.

  2018년도 열심히 맞벌이부부를 하며 건강하게 매달 월급을 받는 것에 감사합니다.

-  2016년 평강줌마네 연말정산 소득공제 결과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다시 쓰기 시작한 가계부이네요. 편한 브로콜리앱으로 소비에 대한 가계부를 쓰고 있어요. 가계부를 적으니 좀 더 계획적인 소비 생활을 하게 되네요.
  맞벌이부부로 열심히 일하는데 소득보다 지출이 많으면 우울하니 30대에 허리띠를 졸라매어 보네요.
  상가매매로 대출금을 갚기에 통장잔고가 거의 없어요. 이 통장은 생활비 통장이다 보니 금액이 바닥을 보이네요.
1. 10월에는 얼마를 썼을까?
[지출금액]
 - 4,081,645원
[지출순위]
 - 1위: 세금 1,840,000원
 - 2위: 마트 751,800원
 - 3위: 온라인쇼핑 449,078원
  10월은 추석이 있다보니 만만치 않네요. 총 사용금액는 4,081,645원이네요. 한 사람 수입보다 지출이 더 많네요.
  상가임대를 연결해준 공인중개사에게 비용을 지불했어요. 162만원. 중개보수 0.9%를 적용하네요. 0.9%가 중개보수로 받을 수 있는 최고율이라고 해요.
  맞벌이부부로 한 사람 월급은 모두 저금을 하자고 다짐을 했는데 추석이 있는 10월달은 실패이네요.
2. 상가임대로 공인중개사 비용 대박
- 상가임대 중개보수: 1,620,000원
- 상가 스프링쿨러 수리비: 200,000원
  8월 생애 처음으로 20평 1층 상가를 매매했어요. 상가매매 후 드디어 임대가 되었어요. 매매해서 임대를 계약하기까지 3개월이 걸렸네요. 나쁘지 않은 자리인데 나가지 않아서 조바심이 났어요.
  10월 20일 상가임대계약서를 썼어요. 보증금 2,000만원에 월세 160만원을 받기로 했어요. 매달 160만원의 소득이 더 생기네요. 160만원을 고스란히 저금하기로 했어요.
[상가수익률 계산법]
- [{(월세×12개월)-은행이자}÷{매매가격-(보증금+은행에서 대출한 돈)}]×100
- 3억 7천만원 상가를 보증금 2,000만원, 월세160만원을 받을 때 수익률: 5.48%
  은행권 대출이 없어도 상가투자 수익률은 그렇게 높지 않네요. 

3. 4인가족 식비를 좀 더 아끼자.
- 마트 식비: 751,800원
  10월 마트를 얼마나 갔는지 봤더니 이번 달에는 동네슈퍼를 많이 갔어요. 
  사실 생활비통장에 돈이 별로 없어서 최대한 아껴서 사용했어요.

4. 온라인쇼핑을 왜 이렇게 많이 했지?
  바빠서 온라인 쇼핑을 할 일이 없다고 생각을 했는데 온라인 쇼핑을 너무 많이 했다는 것을 가계부를 보면서 알았어요.
  무슨 아침마다 온라인 쇼핑을 했는지. 김생민의 영수증에 나오는 말처럼 아침에는 핸드폰을 멀리해야겠어요.

5. 외식비도 만만치 않네요.
  맞벌이부부이다 보니 생각보다 외식을 많이 하게 되네요.
  줄인다고 하면서도 잘 줄여지지 않는 부분이 바로 외식비가 아닐까 싶어요. 11월에는 꼭 20만원 아래를 노려보네요.

6. 착한 기름값
  10월 기름값은 매울 알뜰하네요. 10월은 그렇게 믾이 춥지 않았기에 가능하다고 봐요. 겨울 기름보일러에 기름이 얼마나 들어갈지. 더우면 더워서 전기세가 많이 나가고 추우면 추워서 기름으로 지출이 많네요.
  10월은 주유 부분에서 나름 선방을 했네요.

7. 맞벌이부부 9년차 자산
  브로콜리앱을 편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개인연금이나 생명사에 넣고 있는 금액은 나오지 않네요.
  그래도 나름 자산이 나올 것은 다 나오네요. 나오지 않는 자산의 경우 기타에 수동으로 기록을 하면 된답니다.(저의 경우 그 부분까지는 귀차니즘으로 패스.)

8. 착한 대출부터 갚기

  이제 급하게 갚아야 할 대출이 2,000만원이 남았네요. 이 대출은 12월에 모두 해결할 수 있을 듯 해요. 상가보증금 1,500만원을 받고 나머지는 월세와 월급에서 아껴서 500만원을 만드려고 해요.
  그러면 올해까지인 급한 대출은 끌 수 있겠네요. 후내년 2월에 월세보증금 4천만원을 돌려주어야 하는데 그 부분은 내년 알뜰살뜰 모으면 해결이 될 것이라 봐요.
  1억2천만원.
  내 돈이 아닌 전월세 보증금 5천만원과 오빠에게 빌린 7천만원.
  12월이면 오빠에게 빌린 7천만원을 해결하고, 2019년 2월 4천만원, 2020년 11월 2천만원, 2021년 천만원 보증금을 마련하면 되네요.
  7천만원은 그나마 시간적 여유가 있으니 낫네요. 꾸준하게 가계부를 적어서 전월세 보증금을 마련하고 2번째 상가(아들 후원금)를 찾아보길 소망해 봅니다.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