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2년 5천7백만원 소형상가를 가계약했습니다.

- 상가 가격: 57,000,000원
- 실제 상가 가격: 52,000,000원
(보증금 500만원 제외)

1. 6,000만원짜리 상가가 네이버에 나오다.

 

네이버에 나온 6,000만원짜리 상가

네이버에 6,000만원짜리 상가가 나왔습니다.

너무 싸잖아.
남편은 건물이 좋지 않을 것이라고 합니다.

더구나 상가는 무조건 1층이지 라고 생각을 하는 남편이기에 2층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또한 가격이 비싸지 않으니 건물에 대한 기대가 없는 남편입니다.

매물 소개

- 2층 상가 코너각지
- 24평형(실13평)
- 2011.2.23-사무실&상가, 원룸 128세대, 주차 54대, 엘레베이터 2대
- 사무실, 호프집, 커피솝, 소주방 등의 용도 적합
- 현, 세입자 있음(보500/30-22.6.10~24.6.10)
- 급매: 6,000

매물 소개를 보니 세입자가 있습니다. 그래서 좀 더 끌렸습니다.

공실이 많은 요즘, 2024년까지 세입자가 있다는 것이 매력적입니다.

2. 매물 구경하기

 

6,000만 원에 나온 상가

"주말에 한 번 보러 가자."
"귀찮게 뭘."
"주말에 바람이나 쐬러 가자."

그렇게 제 전용인 남편을 운전기사 삼아 상가를 보러 갔습니다.

공인중개사와 14시 30분-15시에 만나기로 했는데 조금 빨리 도착했습니다.

공인중개사에게 전화를 드린 후 매물로 나온 상가를 구경했습니다.

매물 내부

6천만 원짜리라 건물이 별로일 줄 알았는데 괜찮습니다.

남편도 싫은 티를 내지 않습니다. 항상 제 안목을 믿는다고 하는 남편입니다.

3. 바로 가계약을 하다.

 

매물 내부

공인중개사는 중개사무소로 가자고 하십니다.
등기부등본도 확인할 겸 따라갔습니다. 테이블에 앉자 매도인에게 조금 DC가 가능한지 묻습니다.

그 결과 5700만원으로 남편이 요구를 하자 그렇게 해 주신다고 합니다.

그 말에 가계약금 100만원을 이체했습니다.
계약은 다음 주 금요일날 하기로 했습니다.

땡기더니 그냥 한 번에 5,700만원짜리 소형상가를 계약하고 왔습니다.

 

취득세 세금 정보

소형상가도 취득세가 만만치 않습니다.
상가 가격만 생각을 했는데 취득세도 270만원 정도입니다.

 

네이버에 나와 있는 중개 보수

중개보수는 54만원으로 나와 있습니다.
중개보수를 보니 '공인중개사시험이나 공부를 할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상가 수익률 계산기

상가 수익률 계산기가 있어서 쉽게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참 좋은 세상이야.
저도 상가수익률이 얼마나 될지 확인해봅니다.

 

상가 기타비용

매매 중개보수, 취득세를 내어야합니다.
공인중개사께서 월세 중개보수는 안 받으시겠다고 하셨습니다.
그 돈도 270만원이 넘습니다.

상가수익률 계산기에 나온 연수익률

연수익률은 6.92%가 나옵니다.
상가가 소형이다 보니 대출 없이 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법 괜찮은 수익률이 나옵니다. 대출금리가 높기 때문에 상가들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유심히 보고 있었습니다.

상가 매매 부대비용


부대비용 감안 수익률은 6.49%입니다.

상가 매수인 준비물

상가를 매수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류입니다.
1. 주민등록등본 1통
2. 도장
3. 신분증
4. 가족관계증명서 1통(공동명의 각자 1통)
5. 계약서

계약서는 공인중개사 분이 작성을 해 줄 것이고, 제 명의로 할 것이기 때문에 주민등록등본, 도장, 신분증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11월, 12월 많이 아끼고 살아야겠지만 그래도 제 명의로 된 소형상가가 하나 더 생겼다는 것에 행복합니다.

농담 삼아 남편이 그 주변을 하나씩 상가를 살 것이냐고 했습니다.

가장 잘 아는 곳이 그 곳이기 때문에 종잣돈이 생길 때마다 그 곳을 모으려고 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2017년 11월 상가임대사업자 간이사업자로 신고를 했어요. 그러다보니 2018년 1월 부가가치세 신고를 해야 하네요.

  부가가치세 신고는 한 번도 해 본 적이 없는데......

  세무소에 가야 하나?

  집으로 온 국세청 우편물을 보니 인터넷으로 홈택스를 검색하여서 전자신고를 하는 방법이 나오네요.

  편하게 부가가치세 전자신고의 방법을 택했어요. 처음이라 조금은 버벅거렸지만요. 사업실적이 없어도 신고를 해야 한다고 해요.

1. 국세청홈태스 홈페이지에 들어가세요.

- 부가가치세 신고는 1월 1일부터 1월 25일까지로 연말정산 기간과 비슷하네요. 다행이 원활하게 운영이 되고 있었어요.

2. [신고-납부]를 클릭한 후 [부가가치세]를 클릭하세요.

  - 부가가치세에 대해서 잘 모르겠으면 [신고도움서비스 조회]를 통해 공부한 후에 하면 좋답니다. 이번 신고에 반영해야 할 안내 사항, 신고 시 유의사항 등을 신고 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아요.

3. 신고서를 작성하세요.

  - 기본 정보를 입력합니다. 사업자등록번호 종이를 보면서 신고하면 편하게 할 수 있답니다.

  업종은 부동산 임대업이랍니다.

  임대수입금액합계와 월임대료를 넣었어요.

  부동산임대업 간편신고 작성을 하면 편하답니다. 저도 이 부분은 처음인데 그렇게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었어요.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에 3,236,821원의 숫자가 적혔어요. 두 달 월세 320만원에 보증금 2천만원에 대한 것까지 계산이 되어서 3,236,821원이네요.

  부동산임대업의 부가가치율은 30/100으로 97,104원이 나왔어요.

  부가가치세 신고서를 작성하고 제출했어요. 모르는 것이 더 많았던 부가가치세 신고였어요.

  내년에는 상가임대 간이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를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처음으로 산 상가.
   나중에 아이들 등록금으로 해도 좋을 듯 해서 구입을 했어요. "잘 고른 상가는 3대까지 간다."라고 해요.
   8월에 산 상가가 10월에 임대가 되었어요. 그래서 상가임대사업자 등록을 위해 관할세무서로 갔어요. 임대가 되고 20일 안에 상가임대사업자 등록을 해야 한단는 말을 들었거든요.
  상가임대사업자로 등록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류는 주민등록증이나 면허증, 등기부등본이 필요하네요.
  마산세무서에 갔어요.
  마산세무서는 마산댓거리 롯데시네마 3층에 있어요.
  접수번호를 뽑은 뒤 세무서 민원봉사과에 상가임대사업자 등록을 하러 왔다고 했어요.

  그랬더니 사업자등록신청서를 작성하라고 하시네요.
  잘 모르지만 최대한 아는 부분은 하나씩 작성을 해 나갔어요.
  모르는 부분은 비어두고 직접 물어보았어요.

  사업자등록신청서를 다 작성하고 기다리고 있으니 하나의 종이를 주셨어요. 세금은 어떻게 하냐고 물으니 간단하게 설명을 해 주시는데 그 설명을 들어도 잘 모르겠어요. 이 부분은 따로 공부를 해야하나 봐요.
  상가임대사업자를 등록할 때는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중 선택을 해서 등록을 할 수 있어요.
  일반과세자로 등록을 해야 건물분의 10%에 해당하는 부가세 환급을 받을 수 있다고 해요.
  저는 간이과세자로 등록을 했는데 간이과세자로 등록을 하면 안되는 것인지 살짝 고민을 했어요.
  간이과세자로 등록을 하면 건물의 10%에 해당하는 부가세를 환급 받을 수 없고, 상가 를  팔 때 부가세에 대한 세금계산서 발행도 불가능하다고 해요.
  간이과세자는 '기본적으로 영세한 사업자의 세법 지식이나 기장능력이 부족한 점 등을 감안하여 납세의무 이행의 편의와 세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라고 해요.
  상가임대사업자 등록에서 간이과세자는 사업자등록신청서를 작성할 때 결정이 된다고 해요. 직전년도 수입이 4800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간이과세자가 되네요.
  상가매매부터 상가임대까지.
  처음 하는 일이다 보니 모르는 것이 너무 많네요.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까지. 1년 뒤 세금은 어떻게 내야 하는지도 알지 못하네요.

  하나 하나 배워간다는 마음으로 알아가야겠어요.
  현금 2억 5천에 남의 돈 1억 2천을 보태어 첫 상가. 이제 7천 보증금만 갚으면 되네요. 5개월만에 5천만원을 갚았다는 사실에 놀라고 있어요.

  아직 모르는 것이 너무 많은 상가.
  시간이 지나면서 관련 책도 읽고 공부도 하다 보면 지식이 쌓일 것이라 봐요.
  모르는 부분이다 보니 궁금함도 많아지네요. 알아가는 재미도 느껴보아야겠어요.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다시 쓰기 시작한 가계부이네요. 편한 브로콜리앱으로 소비에 대한 가계부를 쓰고 있어요. 가계부를 적으니 좀 더 계획적인 소비 생활을 하게 되네요.
  맞벌이부부로 열심히 일하는데 소득보다 지출이 많으면 우울하니 30대에 허리띠를 졸라매어 보네요.
  상가매매로 대출금을 갚기에 통장잔고가 거의 없어요. 이 통장은 생활비 통장이다 보니 금액이 바닥을 보이네요.
1. 10월에는 얼마를 썼을까?
[지출금액]
 - 4,081,645원
[지출순위]
 - 1위: 세금 1,840,000원
 - 2위: 마트 751,800원
 - 3위: 온라인쇼핑 449,078원
  10월은 추석이 있다보니 만만치 않네요. 총 사용금액는 4,081,645원이네요. 한 사람 수입보다 지출이 더 많네요.
  상가임대를 연결해준 공인중개사에게 비용을 지불했어요. 162만원. 중개보수 0.9%를 적용하네요. 0.9%가 중개보수로 받을 수 있는 최고율이라고 해요.
  맞벌이부부로 한 사람 월급은 모두 저금을 하자고 다짐을 했는데 추석이 있는 10월달은 실패이네요.
2. 상가임대로 공인중개사 비용 대박
- 상가임대 중개보수: 1,620,000원
- 상가 스프링쿨러 수리비: 200,000원
  8월 생애 처음으로 20평 1층 상가를 매매했어요. 상가매매 후 드디어 임대가 되었어요. 매매해서 임대를 계약하기까지 3개월이 걸렸네요. 나쁘지 않은 자리인데 나가지 않아서 조바심이 났어요.
  10월 20일 상가임대계약서를 썼어요. 보증금 2,000만원에 월세 160만원을 받기로 했어요. 매달 160만원의 소득이 더 생기네요. 160만원을 고스란히 저금하기로 했어요.
[상가수익률 계산법]
- [{(월세×12개월)-은행이자}÷{매매가격-(보증금+은행에서 대출한 돈)}]×100
- 3억 7천만원 상가를 보증금 2,000만원, 월세160만원을 받을 때 수익률: 5.48%
  은행권 대출이 없어도 상가투자 수익률은 그렇게 높지 않네요. 

3. 4인가족 식비를 좀 더 아끼자.
- 마트 식비: 751,800원
  10월 마트를 얼마나 갔는지 봤더니 이번 달에는 동네슈퍼를 많이 갔어요. 
  사실 생활비통장에 돈이 별로 없어서 최대한 아껴서 사용했어요.

4. 온라인쇼핑을 왜 이렇게 많이 했지?
  바빠서 온라인 쇼핑을 할 일이 없다고 생각을 했는데 온라인 쇼핑을 너무 많이 했다는 것을 가계부를 보면서 알았어요.
  무슨 아침마다 온라인 쇼핑을 했는지. 김생민의 영수증에 나오는 말처럼 아침에는 핸드폰을 멀리해야겠어요.

5. 외식비도 만만치 않네요.
  맞벌이부부이다 보니 생각보다 외식을 많이 하게 되네요.
  줄인다고 하면서도 잘 줄여지지 않는 부분이 바로 외식비가 아닐까 싶어요. 11월에는 꼭 20만원 아래를 노려보네요.

6. 착한 기름값
  10월 기름값은 매울 알뜰하네요. 10월은 그렇게 믾이 춥지 않았기에 가능하다고 봐요. 겨울 기름보일러에 기름이 얼마나 들어갈지. 더우면 더워서 전기세가 많이 나가고 추우면 추워서 기름으로 지출이 많네요.
  10월은 주유 부분에서 나름 선방을 했네요.

7. 맞벌이부부 9년차 자산
  브로콜리앱을 편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개인연금이나 생명사에 넣고 있는 금액은 나오지 않네요.
  그래도 나름 자산이 나올 것은 다 나오네요. 나오지 않는 자산의 경우 기타에 수동으로 기록을 하면 된답니다.(저의 경우 그 부분까지는 귀차니즘으로 패스.)

8. 착한 대출부터 갚기

  이제 급하게 갚아야 할 대출이 2,000만원이 남았네요. 이 대출은 12월에 모두 해결할 수 있을 듯 해요. 상가보증금 1,500만원을 받고 나머지는 월세와 월급에서 아껴서 500만원을 만드려고 해요.
  그러면 올해까지인 급한 대출은 끌 수 있겠네요. 후내년 2월에 월세보증금 4천만원을 돌려주어야 하는데 그 부분은 내년 알뜰살뜰 모으면 해결이 될 것이라 봐요.
  1억2천만원.
  내 돈이 아닌 전월세 보증금 5천만원과 오빠에게 빌린 7천만원.
  12월이면 오빠에게 빌린 7천만원을 해결하고, 2019년 2월 4천만원, 2020년 11월 2천만원, 2021년 천만원 보증금을 마련하면 되네요.
  7천만원은 그나마 시간적 여유가 있으니 낫네요. 꾸준하게 가계부를 적어서 전월세 보증금을 마련하고 2번째 상가(아들 후원금)를 찾아보길 소망해 봅니다.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드디어 상가 잔금을 모두 내었습니다. 상가 잔금을 치르기까지 통장에 얼마의 돈이 있는지 열심히 계산을 했습니다.
  잔금을 치르면서 상가 유리 공사와 바닥도 철거를 해서 예상도 못한 돈이 460만원이나 들기도 했습니다.
[상가매매 법무사 수수료]
 - 상가가격 : 3억4천6백만원
 - 상가매매 법무사 수수료 : 447,000원
 - 상가매매 취득세 : 13,840,000원
 - 상가매매 교육세 : 1,384,000원
 - 상가매매 농특세 : 692,000원
 - 상가매매 중지대 : 13,000원
 - 상가매매 인지세 : 150,000원
 - 상가매매 채권(할인) : 30,000원
 - 상가매매 제비용 : 10,000원
 - 상가매매 부가세 : 44,700원
 - 상가매매 세금 및 법무사비 총 합계 : 16,610,700원
  상가 마지막 잔금을 내면서 법무사에게 등기를 맡겼습니다. 상가 자체가 근저당설정이 되어 있어서 매매를 위해서 은행 근저당을 풀 필요가 있었습니다.
  인터넷으로 계산되었던 법무사 수수료보다 30만원이 더 비쌌습니다. 그러나 제가 잘 모르는 부분이고 근저당 해지를 햐야 하기에 그냥 맡겼습니다.
 상가에 들어간 돈을 모두 정리해서 찰칵 찍어놓습니다.
[상가매매에 들어간 돈]
 - 상가 : 3억4천6백만원
 - 세금 및 법무사비 : 16,610,700원
 - 바닥 철거 : 2,500,000원
 - 유리 시공 : 2,100,000원
 - 공인중개사 : 3,114,000원
 - 상가매매 총 비용 : 370,315,700원

 상가를 사는데 3억 7천만원이 들었습니다. 제 돈 2억 5천이 들고 나머지 돈은 전세보증금 5천만원과 친오빠에게 빌린 돈 7천만원으로 해결했습니다.
 상가 전세보증금을 받으면 오빠에게 빌린 돈 7천만원을 먼저 갚으려고 합니다.
 주택전세금의 경우 4천만원은 2019년 2월, 1천만원은 2021년 2월에 돌려주기 때문에 아직 시간이 있습니다.
 21평 상가의 모습입니다.
 상가를 분할한 것이라 임대가 아직 되지 않은 공실이 된 상태랍니다. 빨리 임대를 하실 분이 오셨으면 좋겠습니다.
 상가매매 잔금을 치르고 나니 통장에 250만원만 남게 되었습니다.
 여태까지 통장에 보유한 잔금 중 가장 작은 통장잔고입니다.
 50만원 연금, 보험료 13만원, 저축7만원이 나가고 나면 180만원이 남습니다. 9월달 월급날까지 알뜰하게 살아야겠습니다.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