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는 눈치를 채신 분이 아무도 없네요. 밑의 사진을 보는 순간 아시게 될 거예요.*^^* 



 한 분의 멘트가 생각이 나네요. 부자의 기준이 뭘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을 때 하는 것"

  그 분의 정의에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어요. 경제적 자유가 있으면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제약이 조금은 줄어들지 않을까 싶어요. 

  2014년 1월부터 블로그에 자산을 기록하고 있어요. 블로그에 자산 기록을 통해서 제가 얼마를 모아가는지를 돌아볼 수 있네요. 

  요즘은 김생민의 영수증을 들으면서 저를 돌아보고 있네요. 너무 많은 소비를 하는 것은 아닌지 반성을 하면서요. 그랬더니 8월달 가계부가 30만원이나 절약이 되었어요. 그래서 매주 듣고 있답니다.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서 블로그에 기록된 자산의 변화를 살펴볼게요.

- 3억 9천 : 2012년 11월 20일(결혼 4년차)

- 5억 도전 성공 : 2014년 7월 21일(블로그 이름 6억 도전기로 변경)

- 5억 5천 달성 : 2015년 7월 28일(1년에 5천만원 자산 증가)

- 6억 도전 성공 : 2016년 1월 1일(블로그 이름 7억 도전기로 변경)

- 7억 도전 성공 : 2017년 9월 15일(블로그 이름 8억 도전기로 변경)

  21개월 만에 1억이 늘어서 7억 모으기에 성공을 했습니다. 

  결혼 전부터 열심히 재테크책을 읽었어요. 처음을 시작할 때는 재테크에 관심이 많았어요. 지금은 재테크도 중요하지만 재무설계를 잘해야 함을 느끼고 있어요. 

  아직까지도 여러 가지 재테크와 재무설계책을 보면서 셀프로 자산관리를 하고 있어요. 그 중에서는 다산북스 '800만원으로 시작하여 100억을 만든 셀프자산관리'책을 보고 있어요. 제가 100억까지 모으는 것은 어렵겠지만 그래도 꿈은 크게 가져야겠지요.

[8억 8백만원 달성하면 하고 싶은 버킷리스트]

  - 8억 8백만원 달성하면 4인 해외가족여행 가기(휴양으로, 사이판이나 괌으로)

  짠돌이 남편과 이야기를 했어요. 

  "우리 언제 아이들을 데리고 해외여행을 가지?"

  "우리 8억 달성하면 사이판이나 괌으로 가자."

  김생민의 영수증을 듣더니 남편이 8억이 되면 가족해외여행을 가자고 하네요. 제가 가족해외여행을 이야기하자 거금이 드는 해외여행은 8억을 모으면 가기로 했어요. 

  사이판은 남편과 제가 신혼여행을 갔던 곳이거든요. 

  지금은 상가 대출을 갚아야 하니 조금은 참기로 했어요. 아직 대출금이 1억 1천이 있어요. 단 은행이나 비은행권 대출이 아니라 오빠 찬스와 전세보증금을 대출로 잡고 있어요. 8억이 되면 상가 대출은 모두 해결할 수 있을 듯 해요.

  소소하게 아끼면서 맞벌이부부로 열심히 살았더니 조금씩 모으는 재미가 있네요. 남편의 통장까지 모두 제가 관리를 하고 있어요. 남편은 귀찮다며 인터넷뱅킹도 하지 않는 성격이네요. 

  그러나 한 달에 한 번씩 제가 우리 자산이 얼마라고 하면 관심을 보이는 남편이네요. 열심히 남편에게 우리 자산에 대해서 브리핑을 하고 있어요. 때로는 남편이 우리 가정의 재무설계, 가계부, 통장쪼개기를 했으면 좋겠네요. 매번 계산을 하다보니 귀찮을 때도 있네요.^^  

총 순자산 포트폴리오를 정리해 보았어요.

  - 예금 : 83,345,332원(10%)

  - 펀드 : 19,784,260원(2%)

  - 주식 : 51,622,205원(6%)

  - 부동산 : 657,000,000원(81%)

  - 총자산 : 701,751,797원(자산 811,751,797원, 대출 110,000,000원)

  총자산이 701,751,797원이 되었어요. 앗싸! 7억 달성 성공!

  오늘 남편에게 자랑을 했어요. 우리가 21개월 만에 1억을 달성했다고 말이예요. 남편이 짠돌이이지만 남편의 짠돌이 모습이 있었기에 이렇게 증가하는 것이라고 봐요.

  21개월만에 1억 달성이라 한 달에 얼마씩 자산이 늘었는지 살펴보니 476만원씩 늘었네요. 남편과 저의 월금 합계가 600만원이니 월세와 은행이자가 큰 도움이 되었네요.

  현재 자산의 비중을 살펴보면 부동산 비중이 81%, 예금 비중 10%, 주식 비중 6%, 펀드 비중 2%이네요. 상가를 구입하는 바람에 부동산 비중이 너무 높아졌어요. 

  그리고 모든 초점이 상가로 빌린 돈을 갚는 것에 맞추어져 있어요. 

  친오빠에게 빌린 것이기에 올해 말까지 갚으면 되어서 이자는 많이 주지 않아도 되네요. 7천만원을 빌렸으니 1%인 70만원만 주려고 해요. (너무 작나? 저도 예전에 오빠에게 친분상의 이자를 받고 빌려주었으니 오빠도 이해할 것이라 봐요.)

  이렇게 대출을 갚기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어요. 어떻게 보면 대출을 갚으면서 자연스럽게 저금을 하고 있는 것이네요.

 6억에서 7억으로 바뀐 시기는 21개월.

 21개월을 기준으로 본다면 2019년 6월이면 8억 도전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 봐요. 2019년 6월에 8억 도전에 성공을 했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2019년 8월에 여름 휴가로 4인 가족 모두 사이판이나 괌으로 여행을 가고 싶네요.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처녀 때 '부자의 첫걸음 종자돈 1억 만들기'를 사서 읽었어요. 이 책을 읽으며 1억을 모아보자는 생각이 들었어요. 처녀 때는 집에서 다녀서 집값이나 식비 부분에 대해 걱정이 없었어요. 그래서 1억모으기에 도전을 해 보았어요. 마음이 헤이해지거나 잘 모를 때는 이 책을 읽으며 마음을 다졌어요.
그렇게 월급쟁이 생활을 한 지 만5년이 다 되어갈 때쯤 1억을 모을 수 있었어요. 정말 제가 보아도 신기하네요.

그렇게 결혼을 하고 다시 5년이 지났네요. 남편도 저와 비슷하게 알뜰살뜰 모으면서 사는 것을 좋아하네요. 5억을 모은 시점에서 다시 이 책을 잡았어요. 초심을 잊지 말자는 의미에서 오늘 저녁 읽기 시작했어요. 푼돈을 모아야지 목돈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니깐요. 지금 저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꼭 기억을 하려고 해요. 100세 시대인 노후를 편안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적당한 돈이 필수이네요.

[1억이라는 첫 번째 관문을 통과하자.]
한 달에 200만원을 저금하면 4년 넘게 걸린다고 해요. 그러나 부자가 되는 첫 관문인 1억을 모으는 것이 정말 어렵다고 해요. 인내와 끈기로 종자돈 1억만 모아보라고 해요. 그 후에는 자연스럽게 경제신문의 부동산 지식이나 투자 정보가 눈에 들어온다고 해요. 저의 경우에는 1억이 모은 후 자신감이 생겼어요.

[돈을 모으는 것도 눈사람을 만드는 것과 같다.]
차가운 손을 불며 단단하게 다지는 과정이 있어야 눈사람이 완성이 되지요. 그것처럼 돈도 사용하고 싶은 유혹을 참아야지 종자돈이 만들어지지요. 눈사람을 만들기 위해 눈을 모을 때는 처음에는 힘들지만 어느 정도의 크기가 되면 눈덩이가 쉽게 불어나지요. 이 부분은 경험으로 알 수 있었어요. 4억을 모으고 5억이 되기까지 1년 6개월이 걸렸어요. 1억이 되기까지 1년 6개월이라는 사실에 깜짝 놀랐어요. 5억에서 6억이 되기까지 얼마의 기간이 걸릴지 궁금해요. 아마 단축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재테크 1단계 : 무조건의 법칙]
재테크의 1단계는 종자돈을 모으는 것이라고 해요. 좋은 사냥감을 잡기 위해 미리 총알을 준비하듯이 종자돈을 준비하라고 하네요. 저도 지금 중소도시에 아파트를 살지 말지 고민을 하고 있어요. 종자돈이 조금 부족하여 더 고려하고 있어요.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종자돈을 모으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그래서 저는 강제적으로 적금을 들었어요. 월급날 자동이체가 되게 해 주세요.

[재테크 2단계 : 반복의 법칙]
적금은 목돈을 만드는 저축상품이지 결코 목돈을 불려 주는 금융상품은 아니라고 해요. 종자돈의 일부를 재투자해서 종자돈 만들기를 반복하라고 해요. 이 때 종자돈의 전부를 투자하지 말라고 해요. 재투자를 할 때에누 반드시 종자돈의 일부는 따로 남겨 두어 정신적인 안정감을 유지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해요.
저의 경우 펀드에 4천만원, 주식에 5천만원을 상한선으로 정해놓고 투자를 해요. 수익이 나면 cma나 적금에 넣어두어요. 그 후 코스피가 떨어지면 다시 투자를 해요. 이 기본 원칙을 깨지 않으려고 노력을 해요.

[재테크 3단계 : 분산의 법칙 ]
일정 규모 이상의 자산이 형성되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라고 해요. 이 책에서 가장 좋은 말은 나와요. '행복한 부자들은 돈을 벌기 위해 현실적으로 투자할 뿐만 아니라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 자신의 인생과 이웃에 대한 투자까지도 고려한다.'
모두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 자신의 인생과 이웃에도 투자하라는 말이 와닿네요.

[실전 종자돈 1억 만들기]
* 적금은 무조건 자동이체를 하라 : 적금을 자동이체해 놓으면 쓰고 싶은 욕망을 원천봉쇄할 수 있어요. 그 나머지 금액이 월급이라고 생각하며 쓰라고 하네요. 이 부분은 꼭 기억하며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해야겠어요.

[실전 종자돈 2,000만원 만들기]
마음 맞는 사람과 함께 자린고비 생활을 하라고 해요. 저는 텐인텐 카페에 들어가서 글을 읽으면서 부자의 꿈을 꾸어요. 재무설계에 관심이 있는 분들께 텐인텐 카페 강추해요.

[가치투자의 철칙]
1. 가치있는 주식을 잘 선별하여 묻어두겠다는 마음가짐을 가져야한다.
2. 항상 여윳돈으로 투자한다.

다시 읽어보아도 괜찮은 재테크 관련 도서는 '부자의 첫걸음 종자돈 1억 모으기'이네요.
이제는 1억이 아닌 6억을 모으기 위해 달려가지만 1억을 모으기 위해 노력했던 그 초심만은 계속 간직해야겠어요.
혹시 1억을 모으고 싶은 분이 계시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세요.

 

반응형
Posted by 평강줌마

댓글을 달아 주세요